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에 대한 새해 업무보고에서 "조선기자재 업체들에 대한 업종 전환에 힘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산업부 주형환 장관은 이날 보고에서 "조선산업 밀집지역에 대해서는 기자재업체들을 업종 전환하는데 힘을 기울이고 올해에만 연구개발 등의 자금 2400억 원을 지원해 발전기자재라든가 그 주변산업으로 전환하도록 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현재 조선기자재 산업에 대해 업종전환, 업종고도화, 사업다각화 정책을 펴고 있는데 명시적으로 업종전환에 대해 강조점을 둬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선산업 밀집지역은 부산, 울산, 경남, 전남, 전북이고 그 가운데 대표적인 조선기자재 밀집지역은 부산 녹산국가산업단지다. 정부가 조선기자재 업종 가운데 부가가치가 낮은 분야에 대해서는 업종전환을 강력 유도한다는 뜻이다.
지난해 산업부 자체 조사에 따르면 조사대상 176개 업체 가운데 88개 업체가 업종전환을 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는 조선기자재 업체들을 발전기 기자재 납품업으로 전환시킬 예정이다. 하지만 발전기자재 업종도 기존 사업자들이 있고 산업부가 강력 추진하고 있는 전기자동차 산업이 발달하면 원전 건설이 늘게 돼 또 다른 사회문제가 야기될 전망이다.
산업부는 "조선산업은 3사(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의 자구 계획을 신속히 이행하도록 하고 올해 상반기 중으로 1조5000억 원의 군함을 발주하고 선박펀드 3조7000억 원 규모를 본격적으로 집행해 신조 수요를 창출하겠다"고 덧붙였다.
산업부는 또 해양플랜트 설계전문회사 설치, LNG 추진선 시범도입, 중소 조선사들의 선박수리·개조업 진출 등 고부가가치 분야 전환도 적극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산업부는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성 논란과 관련해 원전에 대한 내진시공을 규모로 6~7도 지진을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을 7.5도 정도까지 내진설계가 가능하도록 상향조정하도록 할 방침이다.
|